본문 바로가기
  • 공간샵 2호점
사회 . 경제

근린생활주거시설 정의 및 용도

by 나의공간의 주인장 2024. 8. 11.

근린생활주거시설은 근린생활시설에 주거용도로 지어지는 주거지역을 말하는데요,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시설과 주거 공간이 함께 조성된 복합시설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주민들이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서 생활의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전되었습니다.

 

근린생활주거시설은 보통 주거지역 안이나 근처에 위치하며, 상업, 교육, 문화, 의료 등 여러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합니다.

 

서울 도심의 야경

 

 

 

주요 특징

   - 복합용도 : 근린생활주거시설은 주거 공간과 상업, 서비스 공간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하층부에는 상점, 카페, 작은 사무실 등이 있고, 상층부에는 주거 공간이 마련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시설은 주민들이 멀리 이동할 필요 없이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근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편의성 : 주민들이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거리에 다양한 시설이 집중되어 있어, 일상생활이 매우 편리합니다.

주요 시설로는 편의점, 슈퍼마켓, 병원, 약국, 음식점, 카페, 도서관, 공원, 체육시설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아,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용이합니다.

 

  - 주거 환경 : 근린생활주거시설은 주로 주거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인데요, 이러한 시설은 주거지의 안전, 소음 수준, 녹지 공간 등을 고려하여 계획되며, 주민들의 생활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커뮤니티 형성 : 근린생활주거시설은 주민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공원, 커뮤니티 센터, 문화 시설 등이 포함되어 있어,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모이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대규모 아파트단지에서 제공되는 공간을 소규모이지만 이러한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여 지역의 연대감을 강화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장점

  - 생활 편의성 : 일상에 필요한 대부분의 서비스와 시설이 가까이에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연대감 : 주민들이 자주 마주치고 교류할 기회가 많아, 지역 사회의 연대감이 형성됩니다.

 

  - 환경 친화적 : 도보와 대중교통 중심의 생활이 가능하여, 자동차 사용을 줄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가치 상승 : 편리한 생활 환경으로 인해 주거지의 부동산 가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단점

  - 혼잡 : 근린생활주거시설이 밀집된 지역은 사람과 차량이 많이 몰려 혼잡하여 주거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습니다.

 

  - 소음 : 상업 시설이 많아질수록 소음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주거지가 요구하는 주요 요건 중 하나인 쾌적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 개인 프라이버시 : 주민들 간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개인 프라이버시가 다소 침해될 수 있습니다.

 

 

 

적용 사례

  - 도시 재생 프로젝트 : 오래된 도심 지역을 재개발하여 근린생활주거시설을 조성 하거나, 일부지역의 오래된 상가건물이나 빈 공간을 재건축이나 증축의 형태로 새롭게 지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주거지의  환경의 질을 개선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신도시 개발 : 계획된 신도시에서는 근린생활주거시설을 체계적으로 배치하여, 처음부터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복합 쇼핑몰 : 대형 쇼핑몰이나 복합 상업 시설 내에 주거 공간을 포함시켜, 쇼핑과 거주를 한 공간에서 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근린생활주거시설은 현대 도시에서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의 가치적인 측면보다 주거생활에서 공간의 편리성에 중점을 둔 시설이라 생각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의 환경발전,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주거시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