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간샵 2호점
문화 . 예술

한국 도자기 청자와 백자의 특징 및 구분

by 나의공간의 주인장 2024. 6. 22.

청자와 백자는 한국 도자기 예술의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으로, 각각 독특한 특성과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고려와 조선 시대에 발전했으며, 각기 다른 제작 방법과 미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청자와 백자의 특징 및 구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자

청자는 청록색의 아름다운 유약으로 덮인 도자기로, 주로 고려 시대(918-1392)에 번성했습니다. 청자는 고유의 색상과 섬세한 문양이 특징입니다.

 

  - 특징

    ● 색상

청자의 가장 큰 특징은 청록색의 유약입니다. 이는 철분과 소량의 구리가 포함된 유약이 고온에서 환원 소성되어 나타나는 색상입니다.

 

    ● 유약

유약은 반투명하며, 깊고 맑은 청록색을 띱니다. 유약의 두께와 소성 조건에 따라 색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문양

청자에는 음각, 양각, 상감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이 새겨집니다. 상감기법은 백토나 흑토를 사용하여 문양을 채우는 방식으로,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장식 기법입니다.

 

    ● 제작 방법

청자는 주로 환원 소성법으로 제작되며, 이는 가마 내부의 산소를 제한하여 유약의 색상을 발현하는 방식입니다.

 

 

  - 구분

    ● 순청자 : 아무런 문양 없이 청록색 유약만을 입힌 청자.

 

    ● 상감청자 : 문양을 새긴 후 백토나 흑토로 채워 넣은 상감기법을 사용한 청자.

 

    ● 음각청자 : 표면에 문양을 새긴 후 유약을 입힌 청자.

 

    ● 양각청자 : 문양을 도드라지게 새긴 청자.

 

 

 

백자

백자는 순백색의 유약으로 덮인 도자기로, 주로 조선 시대(1392-1910)에 번성했습니다. 백자는 그 단아한 아름다움과 간결한 형태로 유명합니다.

 

 

  - 특성

    ● 색상

백자의 가장 큰 특징은 순백색의 유약입니다. 이는 철분 함량이 적은 고령토를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 유약

유약은 반투명하며, 맑고 깨끗한 흰색을 띱니다. 때로는 미세한 푸른빛이 도는 경우도 있습니다.

 

    ● 문양

백자에는 주로 철사나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문양을 그리며, 상감기법은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문양은 간결하고 단아한 것이 특징입니다.

 

    ● 제작 방법

백자는 주로 산화 소성법으로 제작되며, 이는 가마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약의 색상을 발현하는 방식입니다.

 

 

  - 구분

    ● 순백자 : 아무런 문양 없이 순백색 유약만을 입힌 백자.

 

    ● 청화백자 : 백자에 코발트 청화 안료로 문양을 그린 도자기.

 

    ● 철화백자 : 백자에 철사로 문양을 그린 도자기.

 

    ● 상감백자 : 드물게 백자에 상감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고려시대 고려청자와 조선시대 백자

 

 

비교 및 구분 방법

  - 색상 : 청자는 청록색을 띠며, 백자는 순백색을 띤다.

 

  - 유약 : 청자의 유약은 철분과 소량의 구리가 포함된 반투명 유약이며, 백자의 유약은 철분 함량이 적은 고령토를 사용한 반투명 유약이다.

 

  - 문양 : 청자는 상감, 음각, 양각 등의 기법으로 문양을 새기는 반면, 백자는 주로 청화나 철화로 문양을 그린다.

 

  - 제작 방법 : 청자는 환원 소성법을 사용하고, 백자는 산화 소성법을 사용한다.

 

    ● 환원 소성법
환원 소성은 가마 내부에서 산소의 양을 제한하여, 산소 결핍 상태에서 소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금속 산화물의 환원을 촉진하여 색상 변화를 일으킵니다.

 

    ● 산화 소성법
산화 소성은 가마 내부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소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금속 산화물들이 산소와 결합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청자와 백자는 각각의 독특한 미적 가치를 지니며, 한국 도자기 예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두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기술은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해 왔으며, 한국 문화의 중요한 유산입니다.